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6

[쿠버네티스] 1장 새로운 인프라 환경이 온다 온프레미스 개발 기존의 온프레미스 개발 환경은 고객의 요구 사항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대표적인 개발 프로세스 방법으로, 폭포수(waterfall) 방법과 애자일(agile) 방법론이 있는데 이 둘은 극명하게 다르다. * 온프레미스란: 기업의 서버를 클라우드 같은 원격 환경에서 운영하는 방식이 아닌, 자체적으로 보유한 전산실 서버에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기업 인프라 구축의 일반적인 방식이었다. 장점으로는, 기업의 비즈니스 정보를 보안성 높게 관리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이 크다. 반대 의미인 클라우드 방식의 서비스: 오프 프레미스 * on premise : 사내, 직접설치 * on-pre.. 2023. 1. 3.
[2609 BOJ] 유클리드 호제법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D%81%B4%EB%A6%AC%EB%93%9C_%ED%98%B8%EC%A0%9C%EB%B2%95 유클리드 호제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클리드 호제법(-互除法, Euclidean algorithm) 또는 유클리드 알고리즘은 2개의 자연수 또는 정식(整式)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의 하나이다. 호제법이란 ko.wikipedia.org 두 수가 있다면, 큰수를 작은수로 나누어준 나머지의 최대공약수는 두수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는 것이 유클리드 호제법 (a,b) 이러한 표현을 a와 b의 최대공약수라고 하고, (b,0) 이 된다면 최대공약수가 된다 이 최대공약수는 두수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2022. 12. 28.
[논문] 진행 예정 사항 발표 내일 복교수님과 3학기생들 진행 사항 발표 드디어 끝이 보인다 남은 12월부터 부단히 성능평가 실험 해볼 것. 2022. 12. 19.
[BOJ] 2501 python n,k= map(int, input().split()) data=[] for i in range(1, n+1): if n%i == 0: data.append(i) data.sort() # 정렬 if len(data) 2022.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