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내가 처음으로 맡게 된 임무는
1. 데이터명을 다른 팀에서 지정해준 영문명으로 바꾸기
2. 파일명을 바꿔주기
3. str 으로 된 밸류값을 인덱스 0번과 1번은 int로, 나머지는 모두 float(double) 로 바꿔주기
환경 세팅
환경 세팅하는 것부터 고비였다.. 하나도 몰라
vs code 로 진행 -> xshell 에서 불러온다
코드를 직접 짜야 하지만 받았다. (코드를 직접 짜봐야 실력이 는다고 했다.)
기한은 다음주 12일까지 (현 시점 6일) 였다.
엑셀파일 읽기
NoSQL Manager for MongoDB Freeware
* 몽고DB 도 몽고DB Compass 깔아도 되지만, 팀원들이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저도 이걸로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프리웨어 버전과 프로페셔널 버전(유료) 중 전자로 다운로드.
- xlrd 로 안 읽어지면 xls 로 변경해준다
- for rownumber(1, sh.nraws) : 1부터 읽겠다.
- row_data = {} : 딕셔너리 형태로 저장해주었다. 딕셔너리 형태는 어떤 형태든 받을 수 있다고 한다.
- 엑셀파일에서 빈칸이 있으면 오류처리가 됨 -> Null 값 지정해주면 됨( 뭐 트루, 폴스 어쩌구로..)
- 영문명 설정할 때에는 팀에서 준 명으로 변경 : 1. 카멜(낙타, 등처럼 사이사이 대문자)형 2. 언더바_ 형식이 있다
NoSQL MongoDB Freeware
사전작업
- cmd > pip install xlrd 입력
- cmd > pip install pymongo
- (Xshell) 파일 위치 변경 : 역슬래쉬를 모두 -> / 로 변경해준다!
- 마지막 / 의미 : 이 파일 속에 있는 엑셀파일을 불러준다 ( 그 자체를 불러줄 때에는 마지막 / 빼기~)
- (SublimeText) 파일 저장 : ctrl + s -> ctrl + B (실행)
- (NoSQL MongoDB Freeware) RDA (폴더) - refresh 클릭 : 해줘야 엑셀파일 생성이 완료된다~
- (단, 만약 수정해서 다시 반영한다고 한다면, RDA 에서 기존의 파일 Delete 해주고, 다시 코드 실행해주고, refresh 해주라)
* 추가로, 캡처 단축키는 : Shift + 윈도우 + s 이다 - (NoSQL MongoDB Freewar) Data 가 커서 잘 안 돌아가면 Limit 를 100-> 10,000 으로 키워주기
팀 프로젝트
- 파일 넘겨주는 팀에서 지정해준 영문명으로 저장할 것 (임의로 바꾸지 않는다.)
- 코드 다 짜고 print("완료") 습관을 들여준다.
- (vs code) ctrl + F5 (디버깅 단축키) : 그리고 ctrl + s (저장) 을 꼭 해준다!
- (되다가 안되는 원인이 저거였음..)
- 2칸씩 밀려 있었다 -> 삭제된 인덱스 네임명에서 원래대로 추가시켜주니 안 밀리고 제대로 출력됨~
5개 파일 중 2개는 누락되어 열리는 파일 3개만 진행하여 몽고DB로 불러주었다~~
다음 임무
- str 을 Timestamp 로 변환해주기
'2021-1 > RD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 외부접속 허용 불가 (0) | 2021.11.15 |
---|---|
세미나 | 스플라인 보간법과 지수 보간법 (0) | 2021.10.21 |
NoSQL | HBase (컬럼형 스토어) (0) | 2021.10.05 |
NoSQL | Cassandra (0) | 2021.10.05 |
NoSQL | MongoDB (문서형 데이터베이스) (0) | 2021.10.05 |